유틸리티 명령어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의 설정 상황을 보여준다.
윈도우는 ipconfig,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는 ifconfig이다.
1. ipconfig(윈도우)
- ipconfig/all : 인터페이스별 MAC 주소, DHCP 구성정보(IP주소, 서브넷 마스크, 디폴트 라우터, 네임서버 IP주소 등)
- ipconfig/release : DHCP 서버로부터 얻어진 IP주소 및 구성정보 해제
- ipconfig/renew : DHCP 서버로부터 IP주소 및 구성정보 갱신
* DHCP 란?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호스트에서 관리하는 IP를 유동적으로 관리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즉 IP 자동할당과 분배 기능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2. ifconfig(유닉스 계열 운영체제)
-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붙여진 이름 확인
-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파라미터 확인
-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확인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CONFIG란? IPCONFIG에 대한 기본적인 설명 (0) | 2023.03.11 |
---|---|
[오라클:Oracle] INDEX의 사용법과 좋은 인덱스(INDEX) (0) | 2022.01.13 |
java.net.SocketException:Broken pipe 의 원인과 해결방법 (0) | 2021.12.21 |
connectTimeoutException:The host did not accept the connection within timeout 에러 해결 ( 방화벽 해제 ) (0) | 2021.11.22 |
java.net.UnknownHostException 에러 해결 (hosts파일 등록) (0) | 2021.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