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MBTI 유형 간 업무 스타일 차이와 호환성

by garlicssam 2023. 7. 4.

현대의 직장은 각자의 고유한 관점과 강점을 가진 다양한 성격의 용광로다.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은 조화롭고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 핵심이다. 성격 차이를 이해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프레임워크 중 하나는 개인을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분류하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 이 글에서는 MBTI 유형 간의 업무 스타일 차이와 호환성을 살펴보고 조직이 각 유형의 강점을 활용하여 번창하는 직장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조명한다.

출처 Freepik

외향성(E) - 내향성(I) 스펙트럼

MBTI의 첫 번째 차원은 외향성-내향성 스펙트럼으로, 개인이 에너지를 얻는 방식을 포착한다. 외향적(E)인 사람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외부 자극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반면, 내향적(I)인 사람은 혼자 시간을 보내며 사색함으로써 에너지를 재충전한다. 직장에서 외향적인 사람(E)은 외향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하며 협업 환경에서 성공하는 경향이 있다. 네트워킹, 팀 리더십, 대중 연설과 관련된 역할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반면 내향적인 사람(I)은 내성적이고 내성적인 경우가 많으며 집중적인 업무, 연구 및 분석이 필요한 직무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외향적인 사람(E)과 내향적인 사람(I) 사이의 양립을 촉진하기 위해 조직은 협업 공간과 개인 업무 공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장려하고 내향적인 사람들에게 깊은 사고를 위해 필요한 조용한 시간을 허용하면 두 성격 유형 모두 최고의 업무 성과를 낼 수 있다.

감각(S) - 직관(N) 스펙트럼

MBTI의 두 번째 차원은 감각-직관 스펙트럼으로, 개인이 정보를 수집하고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을 반영한다. 감각형(S)은 오감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 정보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실용성과 세심한 주의를 선호한다. 반면 직관형(N)은 패턴, 가능성, 미래 지향적인 아이디어에 중점을 두는 추상적인 사고를 한다. 직장에서 센서형(S)은 정확성, 조직화, 정해진 절차 준수가 요구되는 역할에 탁월하다. 회계, 프로젝트 관리, 품질 관리와 같은 업무에서 센서형 인재(S)는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 반면 직관형(N)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혁신적이며 전략적 사고,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이 필요한 직무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감각형(S)과 직관형(N)의 강점을 모두 활용하기 위해 조직은 각 유형의 전문성을 중시하는 다양한 팀을 구성할 수 있다. 센서의 디테일과 실용성에 직관가의 큰 그림적 사고와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결합하면 획기적인 혁신과 종합적인 솔루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사고(T)-감정(F) 스펙트럼

MBTI의 세 번째 차원은 사고-감정 스펙트럼으로, 개인이 의사결정을 내리고 정보를 평가하는 방식을 포착한다. 사고형(T)은 의사 결정 시 논리, 객관성, 합리성을 우선시하며, 데이터 기반 분석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감정형(F)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가치, 감정, 대인 관계의 조화를 고려한다. 직장에서 사고형(T)은 비판적 분석, 전략 개발, 객관적인 의사 결정이 필요한 역할에 탁월하다. 주로 엔지니어링, 금융, 법률 등의 분야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반면에 필러(F)는 공감, 협업, 고객 관계와 관련된 역할에서 성공한다. 이들은 상담, 인사, 마케팅과 같은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사고형(T)과 감정형(F) 간의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조직은 포용적이고 공감하는 업무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열린 대화를 장려하고, 의사 결정에서 감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서로를 지원하는 팀 환경을 조성하면 생각하는 사람과 느끼는 사람 모두가 최선을 다할 수 있는 업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판단(J) - 지각(P) 스펙트럼

MBTI의 네 번째 차원은 판단-지각 스펙트럼으로, 개인이 외부 세계를 구성하는 방식을 반영한다. 판단형(J)은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경향이 있으며 명확한 마감 시한과 마무리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들은 계획을 세우고 일정을 지키는 것을 선호한다. 반면에 지각자(P)는 유연하고 적응력이 뛰어나며 모호함에 익숙하다. 이들은 선택의 여지를 열어두는 것을 선호하며 자발적이고 역동적인 환경에서 일하는 것을 즐기는 경우가 많다. 직장에서 판단형(J)은 프로젝트 관리, 조직화, 마감일 준수가 필요한 직무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한다. 이들은 주로 관리, 물류, 운영과 같은 분야에서 일한다. 반면에 인식자(P)는 유연성, 혁신, 적응력이 요구되는 직무에서 성공한다. 이들은 기업가 정신, 연구 개발, 창조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탁월하다.

판단자(J)와 지각자(P)의 강점을 활용하기 위해 조직은 구조를 유지하면서 유연성을 허용하는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을 채택할 수 있다. 구조화된 계획과 예상치 못한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의 균형을 맞추면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결론 성공을 위한 다양성 포용

역동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업무 환경에서 MBTI 유형 간의 업무 스타일 차이와 호환성을 이해하는 것은 조화롭고 생산적인 업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각 성격 유형이 가져다주는 고유한 강점을 이해함으로써 조직은 다양성의 힘을 활용하고 협업, 혁신, 성공을 촉진할 수 있다.

사려 깊은 팀 구성, 열린 소통, 포용의 문화를 통해 조직은 모든 MBTI 유형의 개인이 번창하고 최고의 업무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업무 스타일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성취를 위한 길일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진화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조직의 우수성을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