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알아야 할 )리눅스 필수 명령어 정리

by garlicssam 2025. 3. 24.

1. 리눅스 명령어란?

리눅스(Linux)는 강력한 명령어 기반 운영체제(OS)로, 서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터미널(Command Line Interface, CLI)을 활용한 작업이 많아 리눅스 명령어를 잘 활용하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꼭 알아야 할 필수 리눅스 명령어를 정리하고,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2. 리눅스 필수 명령어 15선

(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

  1. ls (List)
    • 파일 및 폴더 목록 표시
    • 예시: ls -l (자세한 정보 포함), ls -a (숨김 파일 포함)
  2. cd (Change Directory)
    • 디렉토리 이동
    • 예시: cd /home/user (특정 경로로 이동), cd .. (상위 폴더로 이동)
  3. pwd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출력
    • 예시: pwd
  4. mkdir (Make Directory)
    • 새 디렉토리 생성
    • 예시: mkdir new_folder
  5. rm (Remove)
    •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예시: rm file.txt (파일 삭제), rm -r folder (폴더 삭제)

(2) 파일 관리 및 편집 명령어

  1. cp (Copy)
    •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 예시: cp file1.txt file2.txt
  2. mv (Move)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또는 이름 변경
    • 예시: mv old.txt new.txt
  3. cat (Concatenate)
    • 파일 내용 출력
    • 예시: cat file.txt
  4. nano / vi
    • 텍스트 파일 편집기
    • 예시: nano file.txt, vi file.txt
  5. find
  • 특정 파일 찾기
  • 예시: find /home -name "test.txt"

(3) 시스템 및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1. ps (Process Status)
  • 실행 중인 프로세스 확인
  • 예시: ps aux
  1. kill
  • 특정 프로세스 종료
  • 예시: kill 1234 (PID 1234인 프로세스 종료)
  1. top / htop
  • 실시간 프로세스 및 시스템 리소스 확인
  • 예시: top, htop
  1. ping
  • 네트워크 연결 테스트
  • 예시: ping google.com
  1. wget / curl

3. 리눅스 명령어 사용 팁

  • Tab 자동 완성: 명령어 입력 시 Tab 키를 누르면 자동완성이 가능합니다.
  • 명령어 히스토리: history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명령어 조합 사용: | (파이프) 연산자를 활용하면 여러 명령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ps aux | grep firefox

 

 

 

chmod 755, 777, 775 권한 설정 완벽 가이드 (리눅스 초보 필수)

리눅스에서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으신가요? chmod -R 755, chmod 777, chmod 775 등의 숫자 조합이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

aboutevery.tistory.com

 

 

반응형 웹이란? 개념부터 적용 방법까지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반응형 웹(Responsive Web)**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구축할 때 다양한 디바이스와 화면 크기에 최적화된 디자인을 적용하는

aboutevery.tistory.com

 

 

서버 기동 시 Out of Memory(OOM)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서버를 기동할 때 Out of Memory (OOM) 오류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할당된 메모리를 초과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환경 등 다양한 상황에서

aboutevery.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