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관리4 서버 리소스 부족 현상 해결 가이드: CPU, 메모리, 디스크, 네트워크 문제 해결법 서버 관리자는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고 원활한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 서버 리소스 부족 현상을 미리 감지하고 해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PU, 메모리(RAM), 디스크 I/O, 네트워크 대역폭 등이 부족할 경우, 서버 속도 저하, 응답 지연, 서비스 중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서버 리소스 부족 현상과 그 해결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1. 서버 리소스 부족 현상의 주요 원인과 증상① CPU 부족📌 증상애플리케이션 실행 속도 저하서버 응답 지연 및 서비스 다운과부하 상태로 인해 프로세스 종료(OOM Kill)📌 주요 원인과도한 트래픽 및 동시 요청 처리 증가무한 루프 또는 비효율적인 코드 실행백그라운드 프로세스 과부하📌 확인 방법Linux: top, htop, mp.. 2025. 3. 24.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알아야 할 )리눅스 필수 명령어 정리 1. 리눅스 명령어란?리눅스(Linux)는 강력한 명령어 기반 운영체제(OS)로, 서버,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터미널(Command Line Interface, CLI)을 활용한 작업이 많아 리눅스 명령어를 잘 활용하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이 글에서는 초보자부터 전문가까지 꼭 알아야 할 필수 리눅스 명령어를 정리하고,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설명하겠습니다. 2. 리눅스 필수 명령어 15선(1) 파일 및 디렉토리 관련 명령어ls (List)파일 및 폴더 목록 표시예시: ls -l (자세한 정보 포함), ls -a (숨김 파일 포함)cd (Change Directory)디렉토리 이동예시: cd /home/user (특정 경로로 이동), cd .. (상위 폴더로 이동).. 2025. 3. 24. chmod 755, 777, 775 권한 설정 완벽 가이드 (리눅스 초보 필수) 리눅스에서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으신가요? chmod -R 755, chmod 777, chmod 775 등의 숫자 조합이 의미하는 바를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리눅스 파일 권한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1. chmod 명령어란?chmod(Change Mode)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permission) 을 변경하는 리눅스 명령어입니다. chmod를 사용하면 특정 사용자나 그룹이 파일을 읽고(r), 쓰고(w), 실행(x)할 수 있는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2. chmod 숫자 표기법 이해하기chmod 명령어 뒤에 붙는 3자리 숫자(755, 777, 644 등)는 파일 권한.. 2025. 3. 24. 서버 기동 시 Out of Memory(OOM) 오류 원인과 해결 방법 서버를 기동할 때 Out of Memory (OOM) 오류가 발생하면 시스템이 할당된 메모리를 초과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컨테이너 환경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OOM 오류의 주요 원인1.1 서버의 물리적 메모리 부족서버의 실제 RAM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메모리보다 부족할 경우 발생합니다.다수의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면서 전체 메모리가 소진될 수 있습니다.1.2 애플리케이션의 과도한 메모리 사용Java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JVM의 -Xmx 설정이 너무 커서 전체 메모리를 초과할 수 있습니다.데이터베이스(MySQL, PostgreSQL 등)가 과도한 캐시를 사용하여 메모리 부.. 2025. 3.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