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1월 중순 발사 예정인 (이미 수차례 밀리고 밀려서 믿을 수 없는 발사 예정 일자) NASA, ESA, 캐나다 우주국이 개발 중인 우주망원경(가시광선 및 적외선). NASA 2대 국장인 제임스 에드윈 웹(james e.webb)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허블 우주망원경의 후계자
1990년 가동되기 시작한 허블 우주망원경이 세계적인 관심을 받으며 눈부신 활약을하자 수명이 다하는 1996년 즈음 이 망원경을 대신할 거대 우주 망원경을 계획하게 되었다. (허블 망원경은 2021년 6월 17일 내부 메모리 보드 불량으로 모든 관측이 중단 되었음일 발표되었다. 수명이 다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1996년 이후 무려 25년 동안이나... )
허블 VS 제임스웹
허블 망원경은 직경 2.5m의 단일 반사경을 사용하지만, 제임스웹 망원경은 직경 6.5m의 반사경을 사용한다. 1.3m짜리 정육각형 반사경 18개로 구성된 제임스웹 망원경은 발사체에 이 18개의 반사경을 구겨넣고 우주공간에서 조합해 하나의 반사경으로 만들게 된다. 허블 망원경에 비해 시야가 월등히 넓어서 한정된 시간에 넓은 영역을 관측할 수 있다. 게다가 허블 망원경 고도의 2680배 !!! 거리의 궤도를 돌기 때문에 지구에 가리지 않기 때문에 상시 관측 능력을 얻게되었다.
제임스웹의 목적
허블과 같은 현재의 우주망원경이 관측할 수 없는 먼 천체의 관측과 빅뱅 직후 1억년의 우주를 관측하는 것이 목표이다. 초 원거리 은하, 퀘이사 등을 관측, 연구하게 된다. 외계 행성의 대기 구성 성분 분석을 통한 외계생명체의 탐색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으로 알려졌다.
천문학적 비용
계획 초기 10억 달러에 2007년도 발사예정이었으나 2000년대 말 50억 달러로 증가하고 2014년도 발사예정으로 미뤄졌다. 2013년에는 예산이 88억 달러로 늘었고 발사예정은 2018년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19년으로 연기되었다가 다시 2020년 5월로 연기되었다. 시험 중 문제가 발견되어 2021년 3월로 연기되었다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1년 10월 31일로 연기됐다. 이렇게 하여 예산은 100억 달러에 근접할 예정.
너무 오랫동안 프로젝트가 진행되다보니 다른 초대형 망원경의 등장으로 제임스웹의 위용은 점점 추락하는 듯 하다.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리호 발사 과정 (0) | 2021.10.19 |
---|---|
지진 규모와 진도(리히터 규모/수정 메르켈리 진도) (0) | 2021.08.21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완전체 공개 (0) | 2021.06.07 |
우주의크기 재기(우주 거리 사다리) (0) | 2021.05.27 |
스페이스X 크루2의 발사준비 부터 도킹까지 (0) | 2021.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