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litary

한국형전투기 KF-21 보라매

by garlicssam 2021. 5. 30.

보라매

5월에 알에서 깨어나 어미 매로부터 사냥질을 배운 뒤 겨울을 나려고 나왔다가 붙잡혀 길들여진 매. 어린 사냥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보라매는 우리 공군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KF-21 보라매

예상제원

전장 : 16.9m

전폭 : 11.2m

높이 : 4.7m

중량 : 12,000kg

최대이륙중량 : 26,000kg

엔진 : GE F414-GE-400

최대추력 : 14,440 lbf x 2 (쌍발)

최대속도 : 1.8

항속거리 : 2,900km

 

성능

기동성

(유로파이터 타이푼에 준하는) 높은 수준의 추력 대 중량비로 고기동성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지형추척(ATF), 자동회복(PARS), 자동경로항법(ARN), 자동지상충돌 회피(AGCAS)  등의 최신 기능이 적용될 예정으로 있다.  

 

저피탐성

F-35와 같은 최신 5세대 전투기와의 저피탐성 성능의 격차는 있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반매립 무장, 평면 동체, 매립형 안테나 등 저피탐 형상설계가 적용되어 다른 4/4.5세대 전투기 보다 낮은 수준의 RCS를 가진다. 4.5세대 전투기이면서도 5세대인 F-22 / F-35의 외형과 매우 흡사하게 설계된 이유도 전투기 개발을 막 시작한 한국의 기술로 뽑을 수 있는 최선의 저피탐성 성능을 갖추기 위한 노력의 결과이다. 

 

KF-21 보라매

레이다

한화에서 개발한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를 장착한다. 탐지거리는 137km 이상으로 알려졌다. 첫 번째 국산 AESA레이터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인정할 만한 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다른 선진국의 레이더 기술과 비교 시 격차가 나는 것은 사실이다. 물론 발전이 필요한 상황으로 개량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무장

M61A2 20mm 발칸포가 기본 탑재된다. 최대 무장량은 약 7.7t으로 F/A-18E/F의 8.05t과 비슷한 수준이다. 미국산 무장은 물론 유럽제 무장 그리고 당연히 국산 무장도 인티할 예정이다. 하드포인트는 10개이며 동체 하부의 하드포인트는 4개이며 반매립식이다. 향후 내부무장창이 추가될 수 있도록 초기부터 설계되어 있으며 이곳에 공대공 무장은 AIM-120 4발  등이 적립될 예정이다. 

 

KF-21 보라매

 

도입계획

대한민국 공군은 120대 도입을 예정하고 있다. 공대공 모드의 블록 1이 40대, 공대지 기능이 추가된 블록 2를 80대 도입할 예정이다. 120대 도입 이후에도 추가 도입이 예상되고 있다. 공동 개발국이 인도네시아는 블록 1을 50기 도입 예정에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