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장 : 337.1m
전폭 : 78.02m
전고 : 76.2m
홀수선 : 11.88m
만재배수량 : 101,600t
최대속력 : 30노트 이상
승조원 : 4,297명(장교 508명, 수병 3,789명)
항공기 : 75기 ~ 90기(최대) (F/A-18E/F, F-35C, E/A-18G, C-2, E-2D, MQ-25, MH-60R )
미국의 차세대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 및 니미츠급 항공모함을 대체 하여 건조 배치되고 있는 최신의 항공모함이다.
니미츠급의 원자로(A4W)보다 출력이 대폭 향상된 원자로(A1B) 2기를 탑재하였다. 이 원자로는 연료봉의 교체주기가 길어져 함정의 수명 동안 연료봉 교체가 필요없다.
이전 항공모함의 증기식 캐터펄트 대신에 전자기식 캐터펄트가 도입되었다. 1500톤에 달하는 증기식 캐터펄트는 운용인원이 120여명에 달하기 때문에 10만톤에 달하는 미국의 항공모함이라도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었다. 전자기식 캐터펄트는 좀더 가볍고 운용인원도 줄었고 출력의 조절도 용이하여 다양한 기체를 운용하기 유리하다.
6000여명의 인원이 필요한 니미츠급과 달리, 4600여명의 인원으로 작전이 가능해졌다. 인원 감축을 위해 화장실까지 손봤을 정도로 공을 들였다고 한다.(소변기를 없애 관리인원을 줄였다.)
주 레이더로 SPY-3/SPY-4 듀얼밴드 레이더 시스템이 채용되었고, 2번함(존F케네디)부터 차세대 이지스 레이터의 간략형인 EASR이 채용될 예정이다. 레이더의 성능이 왠만한 방공구축함급이 된다.
자체 무장은 다음과 같다. 미사일은 사거리 50km인 8연장 Mk.29 ESSM 발사기를 2기, 사거리 9km의 21연장 Mk.49 RAM 발사기를 2기 장착하고 근접방어무기로는 Mk.15 IB 팰렁스 3문, 12.7mm 중기관총 4문을 장착한다.
함재기로는 전술기로 F/A-18E/F, F-35C, E/A-18G 와 조기경보통재기 E-2D, 수송기 C-2, 대잠헬기 MH-60R을 탑재한다. 무인 함상 공중급유기로 MQ-25도 배치될 예정이다. 이전 항공모함 탑재기들의 공중급유는 전술기에 급유용 포드를 달고 급유를 해주는 방식이었는데 이는 한정된 탑재기를 급유미션으로 돌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MQ-25의 배치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의 첫번째 항공모함인 랴오닝함(67,500t)이 언론에 많이 등장하면서 큰 위협을 주고 있는 인상을 주지만 제럴드R포드급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차이가 있다. 배수량(101,600t vs 67,500t) 부터 탑재항공기(75~90기 vs 50기), 함재기의 성능 그리고 추진기관까지 현시점에서 미국과 중국의 현실적인 차이는 매우 크게 존재한다. 게다가 미국은 이 항공모함을 10척 보유 예정이다.
'milit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스라엘의 아이언돔 미사일 방어체계와 하마스의 까삼로켓 (0) | 2021.05.18 |
---|---|
영국의 마지막 자존심 퀸 엘리자베스급 항공모함 (0) | 2021.05.12 |
중국 최초의 항공모함 랴오닝함 (0) | 2021.04.29 |
F-15EX 이글2(Eagle II) 4.5세대 끝판왕 등장 (0) | 2021.04.18 |
KF-21 보라매 등장과 단상 (0) | 2021.04.18 |
댓글